본문 바로가기
SLP 이론공부

[의미론적 언어발달] 심성어휘집/새로운 낱말/의미망

by 세나언 2023. 3. 17.
반응형

의미론적 발달이란 개인의 낱말 의미에 대한 학습과 저장을 말합니다. 유아기 이후로 아동의 각 언어 영역은 내용, 형식, 사용의 기본 구조의 습득과 확장을 통해 급속도로 증가하게 됩니다. 의미론적 발달의 구성 요소는 어휘집의 발달, 새로운 낱말 학습, 효율적 인출을 위한 어휘사전의 조직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심성 어휘집 mental lexiocn

한 개인의 심성 어휘집은 그가 이해하는 수용어휘집(receptive lexicon)과 사용하는 표현어휘집(expressive lexicon), 낱말의 전집을 말합니다. 아동의 어휘집(어휘사전) 크기는 생애 첫 몇 해 동안에는 주목할 만큼 신속하게 증가하며, 12개월경에 오직 몇 가지 낱말에서 출발하여 24개월경에는 300개 낱말, 초기 성인기에는 약 6만 개 낱말을 습득하게 됩니다.

아동의 언어 습득 영역에서 오랜 기간 유지되어 온 한 가지 조망은 아동들은 24개월경 이후 몇 년간 지속되는 어휘 폭발(vocabulary spurt)을 경험한다는 것입니다.

 

의미론적 분류학 semantic taxonomy

한 아동의 어휘사전 크기를 고려할 때 그 전집(volume)만이 아니라 개별 어휘 항목을 살피는데, 의미론적 분류학은 낱말의 그 의미적 역할에 기초하여 구별합니다.

Nelson(1973)은 어휘의 항목을 세분화하여 아동들의 초기 어휘 발달 종단 연구를 통해 일반 명사가 어휘사전 전체 낱말의 51%에 해당하는 지배적인 비중을 차지한다고 말했습니다. 이는 영어 문화권의 특징으로 한국의 경우에는 영어를 배우는 아동보다 동사가 더 일찍 나타나는데, 그 이유는 주어를 생략하여 맥락 안에서 대화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 특정명사 - 특정의 사람, 동물, 물건을 지칭하기 위한 낱말("은주", "뽀삐")
  • 일반명사 - 일반적인 사람(대명사 포함), 물건, 동물, 추상개념, 문자, 숫자 등을 지칭하기 위한 낱말
  • 행동어 - 행동표현("가", "빠이빠이")이나 관심표현 또는 주의 끌기("봐", "안녕") 등에 쓰이는 낱말
  • 수식어 - 사물의 양이나 질, 그리고 사건의 상태를 표현하기 위해 쓰이는 낱말, 즉 재현, 부재, 형용, 정도, 소유 등을 표현하는 낱말
  • 기능어 - 문법적인 기능을 만족시키기 위한 낱말("입니다", "을/를")
  • 개인적-사교어 - 자기를 나타내는 표현들

 

새로운 낱말

새로운 낱말을 접했을 때, 아동이 가진 해당 낱말에 대한 지식은 불완전합니다. 개인은 한 낱말에 대한 일반적인 친숙성을 먼저 획득하고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유연한 지식을 발달시키는 것입니다.

 

낱말에 의해 표상되는 개념

아동은 '생각하다', '알다'와 같은 추상적 개념보다는 '가다', '치다' 등 구체적인 행위를 더 쉽게 배울 수 있습니다. 추상성을 표현하는 낱말은 '어려운 낱말'로 간주됩니다. 새로운 낱말을 접했을 때, 그 낱말로 표상되는 개념이나 의미는 그 낱말 학습의 용이성에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낱말의 음운적 형태

새로운 낱말을 학습할 때는 낱말의 개념적 참조물에 대한 지식뿐 아니라 그 음운적 형태 역시 습득해야만 합니다. 의성어 낱말의 경우, 음운적 형태와 그것이 표상하는 개념 사이의 관련성이 보다 투명하기 때문에 아동들은 관례적인 이름보다는 의성어 낱말을 먼저 사용하게 됩니다.

 

최초 노출 시점에서의 맥락 조건

아동은 새로운 낱말에 대한 내적 표상 발달과 정교화를 위해 맥락 정보로부터 여러 가지 원천을 도출해 냅니다. 대화 상대자와의 눈 맞춤이나 제스처와 같은 환경으로부터 새로운 낱말을 정의하는 외적 단서들을 탐지합니다. 언어적으로든 언어 외적으로든 보다 많은 맥락적 정보의 제공이 아동들의 새로운 낱말 학습을 지원합니다.

 

의미망 semantic network

인간의 뇌가 새로운 낱말을 습득하게 되면, 낱말들 간에 연결된 매듭에 따라 표제들을 조직하는 의미망 내에 저장됩니다. 구문적, 음운적 또는 의미적 속성 정도에 따라 그 연결 강도가 달라집니다.

어린 아동들은 종종 이름 대기 오류를 보이는데, 특히 어휘 폭발이 시작되는 생애 두 번째 해에 두드러지게 나타납니다. 예를 들어 캥거루로, 안장의자로 말하는 경우 이 두 낱말들이 매우 가까이 저장되어 있지만, 의자어휘 표상이 캥거루안장보다 더 강력하기 때문에 드러나는 현상입니다.

 

 

『아동언어장애의 진단 및 치료』 김영태
『언어 발달 -이론에서 실제까지』 Khara L. Pence

 

[구문론적 언어발달] 아동의 구문구조 발달 단계

[형태론적 언어발달] 한국어의 단위/문장 성분/문장유형/기본 구조/용어 정리

[형태론적 언어발달] 자발화 분석과 언어발달평가 및 해석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