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 발달 이론들은 아동이 어떻게 그리고 왜 각자의 언어 능력을 발달시키는가에 대한 설명을 제공하는 주장 또는 가설을 제시합니다. 언어 발달 분야의 과학은 이러한 언어 이론을 생성하고 검증하는 과정을 기술하고, 임상은 제2언어 교수법과 언어장애 예방, 언어 중재 및 치료, 언어 풍부화를 포함해 언어 발달 이론 및 과학에 의해 영향을 받는 개인의 삶의 영역과 관련이 있습니다.
다양한 언어 발달 이론
언어 발달에 관한 이론들은 그 초점이 풍부하고 다양합니다. 대부분의 언어 발달 이론들은 아동이 어떻게 모국어를 배워 나가는지를 설명하고자 합니다. 어떤 이론들은 낱말 습득이나 의문문 형성과 같은 특정 언어 영역에서의 성취를 설명합니다. 다른 이론은 특정 연령대 또는 특정 장애 맥락에서의 언어 발달에 초점을 두고 있습니다.
어떠한 메커니즘이 언어 습득을 있는가에 대해서도 말할 수 있습니다. 어떤 이론가들은 사람들이 언어를 습득하기 위해 사용하는 처리는 오직 언어를 이해하고 산출하는 과제에만 특별히 적용되는 것이라는 영역 특정적(domain specific) 처리라고 주장합니다. 다른 이론가들은 문제 해결하기, 환경의 사물이나 사건을 지각하기와 같은 맥락에서 사용되는 것과 동일한 처리를 사용하는 영역 일반적(damain general) 처리라고 말합니다.
또한 어떤 이론가들은 유아가 필연적으로 언어를 습득하기 위해 사전 프로그램된 채 세상에 태어난다고 주장하고, 다른 이론가들은 유아들이 각자의 경험을 통해서 언어를 배우는 것이지 선천적인 언어 능력을 가지고 태어나는 것은 아니라고 주장하며, 본성(nature) 대 양육(nurture)이라는 논쟁 등을 불러일으킵니다.
양육 지향적 이론 nurture-inspired theories
경험주의 이론(empiricist theories)으로 불리며, 유아는 어떠한 타고난 언어 능력도 가지지 않은 '빈 석판(blank slate)'인 채로 이 세상에 온다고 말합니다. 인간은 모든 지식을 경험을 통해 획득한다는 개념에 의거합니다.
행동주의 이론 / Skinner
핵심개념: 조작적 조건화 operant conditioning, 강화 reinforcement
- 언어는 인간의 기타 행동과 마찬가지로 어떠한 특별한 선천적인 부여도 반영하지 않음
- 아동들은 조작적 조건화와 형성을 통해 언어를 배우며, 일부 구어 행동은 강화, 일부는 억압됨
- 복잡한 행동(완전한 문장의 발화)은 일련의 연쇄적인 단계로 습득되며, 매 단계는 각 연속 단계를 자극
스키너는 행동주의(behaviorism)라는 개념을 대중화시켰습니다. 조작적 조건화에서 행동은 반응을 통해 형성되는데, 강화를 받은 행동은 증진되고 처벌을 받은 행동은 억압됩니다. 이러한 일반 학습 이론에 따라 언어 학습 또한 마찬가지로 이루어진다는 것입니다.
이 언어 발달 이론에 따르면, 아동은 선천적 지식을 갖지 않은 채 언어 학습 과제에 직면하게 되고, 이러한 환경의 자극이 아동으로부터 구어반응, 언어를 이끌어 내어 '학습하게' 됩니다.
사회적 상호작용 이론 / Vygotsky
핵심개념: 사회적 층위-심리적 층위 social plane-psychological plane, 근접발달영역 zone of proximal development
- 언어는 또래 및 성인들과의 사회적 상호작용을 통해 출현
- 언어기술은 사회적 층위에서 심리적 층위로 이동
- 처음 언어와 인지는 혼재되어 있지만 2세경에 별도의 능력으로 분리
비고츠키는 러시아의 심리학자로 모든 개념들은 사회적 상호작용의 맥락(사회적 층위)에서 도입되며, 시간이 지나면서 심리적 층위 속에 내면화되는 것이라고 주장했습니다. 근접발달영역에서 모방·관찰을 통한 발달을 역동적인 것으로 특징짓습니다.
*근접발달영역: 아동의 독립적인 문제 해결 능력에서 나타나는 실질적 발달 수준과 보다 유능한 성인 또는 또래와의 협력을 통한 문제 해결 능력에서 나타나는 수준 사이의 간극
인지 이론 / Piaget
핵심개념: 인지 가설 cognition hypothesis, 자아중심적 말 egocentric speech
- 아동의 인지 발달은 언어 발달의 선행
- 아동들은 세상을 오직 자신들의 관점으로만 조망할 수 있으므로, 그들의 말은 자아중심적인 형태로 출발
피아제는 학습과 발달의 단계를 강조했으며, 반드시 앞선 단계에서의 성취가 발생해야 다음 단계로 이동할 수 있음을 강조했습니다. 언어가 영역 특정적 능력이라고 믿지 않았으며, 오히려 언어는 인지 발달의 바로 뒤를 따르는 영역 일반적 능력이라고 여겼습니다.
의도성 모델 / Bloom
핵심개념: 의도성 intentionality
- 타인에게 의도를 의사소통하고자 하는 욕구와, 의사소통하는 데 요구되는 노력 사이의 긴장이 언어 발달을 이끌어 냄
이 모델에 따르면 아동의 언어 능력, 감정 표현, 인지, 사회적 상호작용, 놀이는 함께 나란히 발달합니다. 아동이 속한 환경이나 또래가 언어 발달을 이끄는 가장 중요한 영향력을 가진다고 제안하며, 아동의 생각과 주변의 개인이 생각하는 바가 서로 다를 때 언어 습득이 이루어진다고 봅니다.
경쟁 모델 / MacWhinney
핵심개념: 신뢰성 있는 입력, 강화된 표상
- 신뢰성 있는 언어 입력에 대한 반복적인 노출은 언어의 형태론, 음운론, 구문론에 대한 정확한 표상을 강화
경쟁 모델에서 아동은 생애 초기에 빈번하고 신뢰할 만하게 들은 언어 형태를 습득하며, 이후에는 비일관적으로 들은 언어 형태를 습득합니다. 입력이 정확한 표상을 강화시켜 아동이 더 이상 틀린 형태를 산출하지 않게 될 때까지 언어 형태들이 서로 간 경쟁을 하게 됩니다.
<예>
'I went' 대신 'I goed' 사용
'I ran' 대신 'I runned' 사용
사용 기반 이론 / Tomasello
핵심개념: 공동 주의하기 joint attention, 의도 읽기 intention reading
- 아동은 타인의 의도에 주의를 기울이고 이해하며, 이후 언어를 습득하기 위해 타인들의 의도적 의사소통 행동을 모방
'의도 읽기'는 유아기에 출현되는 것으로, 아동이 타인의 의도나 정신 상태를 인식하는 능력을 말합니다. 아동은 타인의 의도를 지각하게 되면서, 타인에게 참여하는 사회적 관례들을 반복적으로 점점 더 많이 사용하면서 언어 능력이 나타나게 됩니다.
『언어 발달 -이론에서 실제까지』 Khara L. Pence
'SLP 이론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의미론적 언어발달] 심성어휘집/새로운 낱말/의미망 (0) | 2023.03.17 |
---|---|
[언어 발달 이론] 본성 지향적 이론 (생득주의) (0) | 2023.03.15 |
언어의 주요 영역과 하위 구성 요인 (의미론, 음운론, 형태론, 구문론, 화용론) (0) | 2023.03.11 |
의사소통과 의사소통장애, 장애 분류와 영역 (0) | 2023.03.09 |
이중언어 발달 유형과 체계 (0) | 2023.03.0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