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형태론적 언어발달] 자발화 분석과 언어발달평가 및 해석

by 세나언 2023. 4. 9.
반응형

언어발달평가를 위해 자발화 분석을 실시할 때 표본을 얻기 위해서 얼마나 많은 발화가 필요한가에 대해서는 다소 논란이 있습니다. 연구자들이 추천하는 표본의 크리는 50~200개 발화까지 그 범위가 다양합니다. 약 2세 정도의 일반 아동을 대상으로 30분 정도 수집한 언어표본은 대략 100~200개 정도의 발화입니다. 대화 시작을 위해 다소 어색했던 앞부분과 아동의 자발성이 없는 부분을 삭제한 나머지 70~100개 문장 정도를 분석하는 것이 합리적입니다.
 

평균 발화 길이 분석

평균 발화 길이(MLU: Mean Length of Utterance)는 아동의 전체 발화 문장 속에 포함된 단어나 형태소를 합쳐 평균 내는 것으로 정상 발달 아동의 표현 언어발달 지표 뿐 아니라 언어장애 아동을 진단, 평가할 수 있습니다.
문법적 발달척도의 기초적 근거로 MLU의 사용을 제안한 Brown은 다섯 단계(Ⅰ: 1.75, Ⅱ: 2.25, Ⅲ:2.75, Ⅳ: 3.50, Ⅴ:4.00)의 MLU 평균을 설정했습니다.
 
평균낱말길이(MLU in words: MLU-w or MLR)는 가장 오래 전에 소개된 척도로, 각 발화의 낱말 수를 총 발화 수로 나누어 평균을 구한 것입니다. 많은 연구들은 18개월에서 5세까지는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MLR도 증가한다는 것을 공통적으로 보고했습니다.
 


   [낱말 구분 방법]

  • 모든 실질형태소(명사, 대명사, 수사, 관형사, 동사, 부사, 감탄사)는 개별적인 낱말로 계산
  • 자립형태소에 붙는 의존형태소는 개별적인 낱말로 계산
  • 준자립어(의존명사, 보조용언)는 개별적인 낱말로 계산
  • 체언에 붙는 격조사, 접속조사, 보조사는 낱말로 계산

 
평균형태소길이(MLU in morphemes: MLU-m)은 각 발화의 형태소의 수를 총 발화의 수로 나누어 평균을 구한 것으로 지금까지 가장 많이 사용되어 오고 있는 평균 발화길이 척도입니다.
 
평균구문길이(Mean Syntactic Length: MSL)은 한 개의 형태소로 이루어진 발화는 제외하고 2개 이상의 형태소로 된 발화만을 분석하여, 총 형태소의 수를 총 발화의 수로 나누어 평균을 구한 것입니다. 이는 '예'나 '응'과 같은 한 개의 형태소로 이루어진 발화가 평균발화길이에 주는 영향을 가능한 한 줄이기 위한 방법입니다.
 

 

한국 아동의 평균발화길이에 대한 연구

영어권 문헌에 보고된 평균형태소길이에 비해 한국의 연구대상아동은 매우 높은 수치를 보였습니다. 이는 문법형태소를 많이 포함하는 한국어의 특징이 이들에게도 나타났다고 볼 수 있습니다.
 
영어권의 2~4세 아동의 평균형태소길이는 1.87에서 5.17를 보였는데, 이것은 한국의 2~4세 아동의 평균형태소길이(2.88~6.02)보다는 평균어절길이(2.13~4.16)에 가까운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최장형태소길이의 평균 수치도 영어권 문헌과 큰 차이가 났는데, Brown의 제Ⅰ~Ⅴ단계의 아동에게 있어서는 5에서 13으로 보고된 반면, 한국 아동은 약 8에서 21의 최장형태소길이가 관찰되었습니다. 마찬가지로 영어권 아동의 최장형태소길이는 한국 아동의 최장낱말길이(6~14)나 최장어절길이(4~11)에 더 가까운 것으로 나타납니다.
 
다양한 분석 방법이 있지만 가장 많이 사용하는 평균형태소길이(MLU-m) 분석의 산출 및 해석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MLU- m 산출방법

평균형태소길이 = 각 발화 형태소 수의 합 ÷ 총 발화의 수

 

MLU-m 해석지표 (김영태, 1997)

연령(M) 또래의 평균형태소길이 예측
평균형태소길이
평균 -1SD -2SD
27 3.00 1.86 0.72 2.88
30 3.01 2.20 1.39 3.19
33 3.70 3.15 2.60 3.51
36 3.84 2.93 2.02 3.82
39 3.86 2.85 1.84 4.13
42 4.40 3.19 1.98 4.45
45 5.04 3.53 2.02 4.76
48 4.86 3.50 2.14 5.07
51 5.57 4.28 2.99 5.39
54 5.37 3.85 2.33 5.70
57 6.05 4.33 2.61 6.02
60 6.50 4.59 2.68 6.33

'또래의 평균형태소길이'는 연구대상아동의 실제수치이며, '예측 평균형태소길이'는 회귀분석 결과 연령에 따른 예측수치입니다. 분석한 대상아동의 평균형태소를 '예측 평균형태소'와 비교해보고, 그보다 낮으면 '또래의 평균형태소길이' 수치에서 어느 위치에 있는지 살펴보고 해석합니다.
 
①  평균이나 평균과 -1SD 수치 사이에 있으면 정상 수준으로 해석
② -1SD와 -2SD 사이에 있으면 '약간 지체'의 가능성이 있다고 해석
③ -2SD보다 낮으면 '지체'의 가능성이 높다고 해석
④ 평균보다 높은 경우는 '또래의 평균 수준보다 긴 발화를 사용한다'고 해석
 


[학술논문]

한국 2-4세 아동의 발화길이에 관한 기초연구.

 

발행기관: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저자명: 김영태

간행물 정보: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2 , 5-25

주제분류: 사회과학>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1997.10.30.

 

논문 다운로드는 유료이며,

학생일 경우 학교인증, 중앙도서관 등을 통해 무료 열람 가능

 

▼▼논문 다운로드 바로가기▼▼

 

교보eBook

교보eBook에서 베스트eBook, 신간eBook, 추천eBook, 오디오북, 동영상, 학술논문 등 다양한 유형의 디지털 콘텐츠를 소개합니다.

ebook.kyobobook.co.kr

 


 

『아동언어장애의 진단 및 치료』 김영태
김영태. (1997).한국 2-4세 아동의 발화길이에 관한 기초연구.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2 , 5-25

 


[형태론적 언어발달] 한국어의 단위/문장 성분/문장유형/기본 구조/용어 정리
[구문론적 언어발달] 아동의 구문구조 발달 단계
[의미론적 언어발달] 초기 어휘 발달 단계
[의미론적 언어발달] 심성어휘집/새로운 낱말/의미망
[언어 발달 이론] 본성 지향적 이론 (생득주의)
[언어 발달 이론] 양육 지향적 이론 (경험주의)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