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SLP 이론공부

언어, 말, 의사소통의 뜻과 구분

by 세나언 2023. 3. 3.
반응형

언어는 삶의 초기에 발달하는 인간의 기본적이며 필수적인 행위입니다. 언어는 낱말과 문장, 표현(언어의 산출) 및 이해(언어의 이해)를 포함합니다. 이러한 언어(language)말(speech)의사소통(communication)의 차원에서 어떻게 다른 것인지에 관해 생각해볼 수 있습니다.

 

언어( language)란 ?

사회적으로 공유된 것
자의적 상징 시스템을 사용하는 기호
언어 기호는 관례적
표상을 위한 도구

언어란 사회적으로 공유된 것이다

언어의 첫 번째 주요 특징은 공동체 구성원들과 약속으로 이루어져 있다는 점입니다. 언어 공동체(language community)란 공통의 언어를 사용하는 사람들로 구성된 집단을 말합니다. 전문가들의 견해로 언어는 사회적으로 유용한 정보를 공유하기 위한 효율적인 방식으로 출현했을 것이며, 이는 공동체 내에서 스스로를 돌보기 위한 행위 유형이었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이외에도 지형학적 환경의 결과로 형성되거나 청각장애 사회 구성원이 사용하는 수화와 같은 사회학적 이유, 경제적인 이유로도 조직될 수 있습니다.

 

언어는 자의적 상징 시스템을 사용하는 기호다

언어의 두 번째 특징은 형태소(morphemes)라는 상징의 조합을 이용해 하나의 기호를 구성한다는 것입니다. 형태소는 의미를 수반하는 언어의 최소 단위를 말하는 것으로 형태소가 조합되어 낱말(words)을 만들게 됩니다. 형태소에는 별, 달, 해 등과 같은 자립형태소와 '뛰-', '-어라'와 같이 다른 형태소와 결합해야만 나타나는 의존형태소가 있습니다. 이렇게 형태소를 이용해 생성한 언어의 낱말들은 한 유형의 정보가 다른 유형의 정보로 전환될 수 있는 기호라고 할 수 있습니다.

 

언어 기호는 관례적(규칙적)이다

언어의 세 번째 특징은 특정적이며 체계적이고 규칙적인 규약을 따라야 한다는 것입니다. 소리(sound)를 낱말로, 낱말을 구(phrases)와 절(clauses)이나 문장(sentences)으로 배열합니다. 그리고 주어와 동사, 목적어를 써야한다는 등으로 구성된 조합을 따라야 합니다.

 

언어를 표상을 위한 도구다

언어의 네 번째 특징은 우리가 사고하는 것과 개념을 표현하는 의사소통을 하기 위한 수단이라는 것입니다. 인간의 뇌는 정보 저장, 추론, 가설, 기억, 계획, 문제 해결과 같은 여러 인지적 활동을 수행하기 위한 표상적 도구로 언어를 사용합니다. 

 

말(speech)이란?

말은 인간이 언어를 표현할 수 있도록 해 주며, 구어 의사소통을 위해 필수적인 청자에게 전달되는 소리신호로 전환해 내는 신경근육적 활동을 말합니다.구어 의사소통을 할 때 인간은 뇌에서 언어를 사용해 개념을 형성하고 그 메세지를 말을 통해 전달합니다. 말은 호흡(respiration), 발성(phonation). 공명(resonation), 조음(articulation)의 네 가지 시스템으로 이루어집니다.

인간이 처음으로 말을 사용한 것은 200만 년 전의 호모에렉투스(Homo erectus)부터 3만 5,000년 전의 호모사피엔스(Homo sapiens)까지로 다양하게 추정됩니다. 전문가들은 말이 언어 표현 수단으로 자리 잡은 것은 단순한 몸짓이나 으르렁거림을 압도하는 장점 때문이었을 것에 동의하고 있습니다. 말이 가지는 가장 중요한 역할은 언어를 공유하는 데 필요한 매개체를 제공한다는 점입니다.

말은 인간이 언어를 공유하기 위해 사용하는 자발적이며 복합적인 신경운동활동입니다. 언어는 말에 의존하는 것이 아니므로 사람들은 쓰기, 읽기, 수화와 같은 수단으로 언어를 공유하기도 합니다. 또한 사고하기 위한 수단으로 자신 내부에 간직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언어가 말에 의미를 부여하기 때문에 말은 전적으로 언어에 의존하고 있습니다.

말과 언어는 독립적인 처리 영역이기 때문에 언어기술이 뛰어나지만 말장애를 가질 수 있습니다. 말을 산출하는 능력을 잃더라도 남아있는 언어기술을 활용하여 대안적인 의사소통 수단을 사용하여 의사소통을 할 수 있습니다.

 

의사소통(communication)이란?

의사소통이란 2명 이상의 사람들 사이에 정보를 공유하는 처리과정입니다. 의사소통이 일어나기 위해서는 송신자(화자)와 수신자(청자)가 있어야 하며, 단 한 사람만이 송신자의 역할을 하며, 청중 앞에서 연설하거나 작가가 책을 저술하는 상황과 같은 경우에는 다수의 수신자가 존재할 수 있습니다. 의사소통은 형성(formulation), 전달(transmission), 수용(reception), 이해(comprehension)의 네 가지 기본적인 처리 과정으로 이루어집니다. 송신자(sender)는 자신이 전하고자 하는 정보를 형성하여 전달하며, 수신자(receiver)는 그 정보를 받아들이고 이해합니다.

 

상징적 의사소통 symbolic communication

상징적 의사소통은 참조적 의사소통(referential communication)이라고도 불리며 개인이 특정 사물이나 사건에 관해 의사소통할 때 발생합니다. 실재와 참조물 관계는 자의적이며, 무언가를 말로 요구하며 해당하는 것을 가리키는 행위는 상징적으로 의사소통했다고 할 수 있습니다.

 

도상적 의사소통 iconic communication

도상적 의사소통은 메세지와 참조물 사이에 관련성이 존재하는 것을 말하며, 전의도적 의사소통(preintentional communication)은 다른 사람들이 특정 의사소통 행위와 그 참조물 사이의 관련성을 가정해야하는 것을 말합니다. 예를 들어 고양이의 목울림이나 유아의 울음은 의사소통 파트너들에 의해 추론되어야 합니다. 의도적 의사소통(intentional communication)은 의도가 상대적으로 정확하지만 의사소통행위와 참조물 사이의 관련성이 완전히 자의적이지 못합니다. 침팬지가 바나나를 향해 보이는 제스처는 의도적이며 도상적인 의사소통입니다.

사람들은 요구하기, 거부하기, 논평하기의 세 가지 기본 목적을 위해 정보를 공유합니다. 말을 하지 못하는 시기의 유아는 울음, 웃음, 몸짓, 미소, 옹알이와 같은 비언어적이면서 의도적인 수단을 이용해 요구, 거절, 논평할 수 있습니다.

 

구어 의사소통 oral communication

말하기와 듣기의 조합으로 가장 보편적인 방식입니다.

의사소통은 고개를 돌려 거절을 표시하거나 유아의 경우 미소를 지어 논평하여 말하거나 들을 필요 없이 이루어지기도 합니다. 또한 동물의 경우에도 강아지가 문 앞에서 헐떡거리는 등 요구할 수 있지만, 오직 인간의 의사소통에만 그 처리 과정에 언어와 말을 사용합니다.

 

 

『언어 발달 -이론에서 실제까지』 Khara L. Pence

 

언어의 주요 영역과 하위 구성 요인 (의미론, 음운론, 형태론, 구문론, 화용론)

[언어 발달 이론] 본성 지향적 이론 (생득주의)

[언어 발달 이론] 양육 지향적 이론 (경험주의)

[의미론적 언어발달] 초기 어휘 발달 단계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