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SLP 이론공부

[언어발달장애] 언어영역별 장애유형의 특성(의미론/구문론/화용론)

by 세나언 2024. 7. 2.
 

 

아동언어장애는 언어의 영역별로 의미론, 구문론, 화용론적인 결함으로 나눠서 생각해볼 수 있습니다. 의미론적 측면은 말의 이해 및 내용에 관한 것, 구문론적 측면은 형태소 및 낱말의 나열과 구, 절, 문장 등을 이루는 언어학적 구조를 의미합니다. 마지막으로 화용론적 측면은 실제 상황적 문맥에서 말하는 사람과 듣는 사람 사이에 사용되는 말의 기능, 즉 듣거나 말하는 사람의 의도를 인식하고 이해하는 능력과 관련된 것을 말합니다.

 

의미론적 결함

의미론

낱말이나 어휘뿐만 아니라 문장에 내포된 낱말들 사이에서 이루어지는 의미적인 관계에 대해 아동이 어떻게 이해하고 사용하는가에 관심을 두어야 합니다. 언어장애아동의 표현어휘 및 수용어휘 수, 어휘다양도, 의미관계 발달, 인지발달과의 관계 등을 분석합니다.

 

의미론적 결함의 예

- 은유적인 낱말 이해/표현 어려움

- 입장을 바꾸어 이해/표현 어려움

  ㄴ상대어(여기-저기, 이-저)

- 신조어(neologisms) 사용

  ㄴ구조적 신어: 목표낱말 음절 섞어 사용
  ㄴ의미적 신어: 유사한 뜻 가진 다른 낱말 사용
  ㄴ음운적 신어: 유사한 소리나는 낱말 사용

- 가상적인 낱말 사용 이해/표현 어려움

  ㄴ예) '이게 의자라고 치고 여기 앉자' → 의지 아니고 돌인데요

- 범주어 낱말 이해/표현 어려움

- 수용 및 표현어휘 수 적음, 의미관계 유형 제한적

- 만지거나 조작할 수 있는 사물에 대한 낱말보다 동작, 과정, 상태 낱말 사용이 제한적

  ㄴ명사>동사

- 과대, 과소 일반화 현상 오래 지속

- 적절한 때의 낱말 인출 어려움

- 접속문 의미 이해 어려움

  ㄴ'철이 영은이가 학교에 갔다'→ 철이는 갔고, 영은이가 간 것은 이해 못할 수 있음.

 

구문론적 결함

구문론

낱말을 순서대로 나열하는 것이 가장 먼저 나타나는 문장의 형태로 대부분 18~24개월이 되면 2낱말 이상을 결합시켜 문장을 만들기 시작합니다. 이후 문법형태소와 접속사를 사용해 구, 절, 문장을 만들어가게 됩니다.

 

구문론적 결함의 예

- 문법형태소 이해/표현 어려움

  ㄴ격조사, 어말어미, 선어말어미

- 낱말 순서 바꾸어 잘못된 문장 만드는 오류

- 평균발화길이(MLU)가 짧음

  ㄴ최소의 내용어 사용한 문장, 2~3낱말 구의 형태를 오래 사용

- 복문 이해/표현 어려움

  ㄴ특히 내포문에서 주절 종속절 관계 이해 어려움

 

화용론적 결함

화용론

말하는 사람에게는 듣는 사람의 의도를 인식하고 이해, 듣는 사람에게는 말하는 사람의 의도를 인식하고 이해해야 합니다. 약 10~12개월 정도에 언어학적인 형식을 갖추진 않지만 언어이전기 의사소통 행위가 발달하고, 3세 정도가 되면 대화의 규칙이나 과정들에 대한 이해가 많이 발달합니다. 화용론적인 결함은 의미론이나 구문론적 결함보다도 더 '비정상적'이거나 '불손한' 느낌을 주기도 합니다.

 

화용론적 결함의 예

- 말을 이해/표현하는데 너무 직설적이고 융통성이 없음

- 원인-결과 관계 이해 어려움

  ㄴ낱말 하나하나는 이해하더라도 문장 전체의 의미 분석/추측 어려움

- 간접적 표현, 완곡한 표현 이해 어려움

- 의사소통 순서를 잘 지키지 못해 끼어들거나 질문만 하기도 함

- 제한된 의사소통 기능

  ㄴ물건/행동 요구하기는 하지만 자발적 정보요청/의견표현 하지 않음

- 상대방의 비언어적 의도 파악 어려움

  ㄴ표정, 강세, 억양

- 상대방의 전제나 가정에 대한 인식 부족

- 상대어[인칭(나-너), 위치(여기-저기), 시간(아까, 이따가)], 지시어, 관계어 사용 어려움

- 의미론적 결함 동반의 경우 반향어(echolalia) 보이기도

 

 

『아동언어장애의 진단 및 치료』 김영태

 

언어의 주요 영역과 하위 구성 요인 (의미론, 음운론, 형태론, 구문론, 화용론)

[0-1세 영아기] 언어 영역 주요 발달(음운, 화용, 의미)

[의미론적 언어발달] 초기 어휘 발달 단계

[구문론적 언어발달] 아동의 구문구조 발달 단계

[형태론적 언어발달] 한국어의 단위/문장 성분/문장유형/기본 구조/용어 정리

 

 

반응형

댓글